728x90 반응형 전체 글51 [알기 쉬운 이차 전지] 10주차 (3). 전극의 밀도를 결정하는 합제 밀도 1. 합제밀도란?합제란 활물질과 도전재, 바인더가 혼합된 슬러리를 뜻함합제 밀도는 합제 소재가 잘 눌리는 정도를 의미 [g/cc]흑연 음극의 경우, 결정 구조가 약해 압력이 높으면 구조가 깨질 수 있으므로 양극보다 낮은 합제 밀도로 사용2. 전극의 적정한 합제밀도?음극의 합제밀도는 약 1.6g/cc를 상한으로 함Ni계 양극은 약 3.1~3.2g/cc를 상한으로 함필요 이상의 고밀도 전극은 입자의 붕괴 및 탈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해액이 충분히 함침할 수 없기 때문에 고율에서 충방전 특성이 저하됨3. 대용량 슬러리 믹싱 장비전극 제조의 마지막 단계인 슬리팅 공정은 코팅과 압연이 끝난 전극을 조립하기 위해 사이즈에 따라 커팅을 하고 탭을 만드는 공정4. 슬리팅 공정이란?슬리팅 공정은 압연 공정이 완료된 전.. 2024. 11. 19. [알기 쉬운 이차 전지] 10주차 (2).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압연방식 1. 압연 공정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압연 공정은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코팅된 전극을 통과시켜 전극을 압연하는 공정압연 공정은 온도, 압연 속도, 하중 압력에 따라 전극의 코팅 두께 및 기공도를 원하는 값으로 조절 가능이런 매개 변수는 재료의 비율, 고형비, 건조과정을 고려하여 최적화시켜야 함그 중에서 온도는 롤 온도에 따라 전극의 압축률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온도에 따라 압연 공정은 Hot Calendering & Cold Calendering 으로 나뉘어짐2. Hot Calendering2개의 롤러를 고온으로 가열 후, 코팅된 전극을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하는 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고밀도의 에너지를 가진 얇은 두께의 균일한 전극을 만드는 압연 방법고온으로 예열 시킨 롤러는 전극의 기공도와 압.. 2024. 11. 18. [알기 쉬운 이차 전지] 10주차 (1).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압연공정 1. Calendering압연기는 전극 소재에 직접 압력을 가하는 동작 롤 (working roll)과 동작 롤에 압력을 더해주는 지원 롤 (back-up roll)로 구성됨롤의 수가 증가할수록 더욱 정교한 작업이 가능해지지만, 배터리 분야에서는 통상적으로 지름이 동일한 2개의 롤을 사용압연기를 사용하여 전극의 두께를 감소시켜 합제 밀도를 맞추는 공정을 주로 롤 프레싱 또는 캘린더링이라 부름압연공정은 건조가 마친 전극을 대상으로 압력을 (필요에 따라 열을 추가로) 가해주며, 합제와 집전체의 두께를 20-40% 에서 50-70%까지 낮출 수 있음캘린더링은 최종 전극의 미세 구조를 결정하기 때문에 전극 공정 중 가장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공정임에도 불구하고 총 전극 제조 비용의 5%를 차지함.주요 .. 2024. 11. 14. [알기 쉬운 이차 전지] 9주차 (4). 용매를 증발시키는 건조 공정 1. 건조 공정이란?건조 공정이란 코팅 장비 내에 설치되어 있는 오븐을 이용하여 슬러리 내의 Solvent 날리는 공정전극 건조는 용제 증발, 바인더 확산 및 입자 침강이라는 세 가지 물리적 공정이 영향을 미치는 공정건조 공정이 없다면, 전극 내부에 습기가 남아 있으면 배터리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수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또한 진공 상태에서 셀의 코팅된 전극을 건조하면 습기가 최소화되고 전극 생산에 유리함건조 공정은 크게 코팅된 전극 건조와 슬리팅 공정 이후 진공 건조 또는 전해질 충전 전 각형 전지 건조로 나눠짐2. 건조 공정의 이해일반적으로 잔류 수분이나 잔류 용매가 전극 내에 많이 있게 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야기전극과 포일의 접착력 저하용매가 증발하게 되면서 용매에 남아있는 바인더 성분.. 2024. 11. 12.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