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극용 첨가제2 [알기 쉬운 이차 전지] 6주차 (2). 폭발 위험이 없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1. 액체 전해질 (Liquid electrolyte)액체 용매 기반 전해질로, 리튬염을 유기용매에 용해한 것2. 전해질에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특성유전율 상수 (dielectric constant)가 20 이상인 고유전율이 요구됨유전율이 높으면 극성이 높아져 점도가 증가하므로 리튬의 이동에 방해됨따라서 고유전 특성의 기본 용매 (cyclic carbonate, 고리형)에 보조 용매 (chain carbonate, 사슬형)를 혼합하여 사용cf. 유전율이란? (유도): 전하 사이에 전기장이 작용할 때, 그 전하 사이의 매질이 전기장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 같은 양의 물질이라도 유전율이 더 높으면 더 많은 전하를 저장할 수 있음. 3. 유기용매의 종류와 특성4. 전해액 첨가제첨가제는 특정한 목적을.. 2024. 10. 29. [알기 쉬운 이차 전지] 6주차 (1). 리튬이온을 운반하는 전해질 1. 전해질 특성 (높은 이온전도도, 화학적 안정성, 낮은 어는점, 높은 발화점)안전하면서 성능이 우수한 LIB를 제작하기 위해 전해질은 몇 가지 조건이 필요.짧은 시간 많은 리튬 이온을 확산시키기 위해 높은 이온전도도를 가져야 함.전지가 작동하는 동안 가스 발생과 같은 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함.낮은 온도에서도 분자의 운동성을 유지해야 하고, 발화점이 높아 높은 온도에서도 안전해야 함.2. 전해질의 역할LIB의 핵심 소재인 전해질은, 리튬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매개체 역할을 함.양극이 산화되면서 양극의 구조에서 빠져나온 리튬 이온이 우선 전해액과 결합을 함.이후 리튬 이온이 단순히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전해질염 사이를 도약하듯 이동하며 확산됨.어떤 전해질.. 2024. 10.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