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리튬폴리머배터리3

[알기 쉬운 이차 전지] 6주차 (3). 안정성을 높인 겔 고분자 전해질 1. 고체 고분자 전해질1975, Wright 등에 의해 PEO (Polyethyleneoxide)와 알칼리염을 사용하여 처음 개발전해질 개발 후, 1978년 Armand 등에 의해 고분자 전해질의 리튬 전지 및 전기화학에의 응용 시작극성 그룹을 갖는 고분자와 격자에너지가 작은 금속염으로 구성되어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과 차이 존재사용하는 고분자로는 PEO, POM (polyxymethylene), PPO (Polyphenyleneoxide)2. 고체 고분자 전해질 장단점장점1. 전극 계면과 밀착성 우수2. Roll to roll 공정 용이3. 기존 액체 전해질 기술과 유사하여 활용성이 높아 제조 원가가 저렴4. 리튬 메탈과 안정적인 반응성5.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주요 부품 적용 가능단.. 2024. 10. 31.
[알기 쉬운 이차 전지] 6주차 (3). 안정성을 높인 겔 고분자 전해질 1. 고체 고분자 전해질1975, Wright 등에 의해 PEO (Polyethyleneoxide)와 알칼리염을 사용하여 처음 개발전해질 개발 후, 1978년 Armand 등에 의해 고분자 전해질의 리튬 전지 및 전기화학에의 응용 시작극성 그룹을 갖는 고분자와 격자에너지가 작은 금속염으로 구성되어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겔 고분자 전해질과 차이 존재사용하는 고분자로는 PEO, POM (polyxymethylene), PPO (Polyphenyleneoxide)2. 고체 고분자 전해질 장단점장점1. 전극 계면과 밀착성 우수2. Roll to roll 공정 용이3. 기존 액체 전해질 기술과 유사하여 활용성이 높아 제조 원가가 저렴4. 리튬 메탈과 안정적인 반응성5.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주요 부품 적용 가능단.. 2024. 10. 30.
[알기 쉬운 이차전지] 1주차 (3). 연구실 소형 배터리 종류 1-6.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소형 배터리는 무엇일까 1. 각형 배터리 (Prismatic battery) (+) 배터리 소재를 평평하게 접어 만든 젤리롤을 사용하여 대량 생산 용이      단단한 알루미늄 케이스를 사용하여 외부충격과 발열에 강함 (-) 알루미늄 케이스를 사용하므로 형태 (직육면체) 변경이 어려움     금속 케이스를 사용하여 무겁고 젤리롤 전극의 낮은 공간 효율 때문에 에너지 밀도가 낮음     에너지 밀도가 낮지만 화재 안정성이 우수하고 생산 단가가 낮음. 전기차와 맞물려 점유율 높아짐 2. 원통형 배터리 (Cylindrical battery)(+) 배터리 소재를 감아 만든 젤리롤 1개를 사용하여 저렴하고 대량 생산 용이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높음 (-) 다수의 원통형 배터리.. 2024. 9.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