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기 쉬운 이차전지] 1주차 (2). 소형전지와 ESS

by 이네 (ine) 2024. 9. 13.
728x90
반응형

1-2. 리튬 이온 전지의 탄생

 

1. 스탠리 휘팅엄

  • 리튬이온전지의 핵심 원리인 *인터칼레이션 전극 (intercalation electrode) 원리 발견
  • 초전도체를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에너지가 풍부한 물질 발견하여 리튬배터리의 혁신적인 양극으로 황화티타늄 사용. 금속리튬 음극과 결합하여 2V 충전식 배터리 개발.

*인터칼레이션 : 리튬이 흑연층 사이에 삽입되는 현상

 

2. 존 구디너프

  • 황화티타늄과 비슷한 코발트 산화물 분자 구조를 발견하고 양극에 적용하여 4V 전압 가지는 배터리 개발 -> 소형 전자제품에 포함 | 층으로 이루어진 구조 안에 리튬 이온
  • 기존 양극인 LCO (Lithium Cobalt Oxide) 코발트를 인산철로 대체하는 리튬인산철 (LiFePO4) 배터리를 발명. LFP.

3. 요시노 아키라

  • 4V 개발의 쇼트현상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 -> 리튬 금속 특성으로 발현.
  • 반응성이 높은 리튬 금속의 대체제로 리튬 이온을 삽입할 수 있는 탄소 재료인 석유 코크스로 대체.

** 에너지 = 전압 X 용량

 

1-3. 리튬 이온 전지의 탄생

 

1. 이차전지 산업 시장 규모

  •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461억 원 (2020) -> 3517억 원 (2030) 8배 증가
  • 리튬 수요 추이 204천 (2016) -> 323천 (2019) 연평균 16% 증가

2. 이차전지 주요 광물 수입 의존도

  • 천연흑연 (중국) 87.4 / 탄산리튬 (칠레) 89.3 / 산화코발트&수산화코발트 (중국) 83.3

1-4. 쓰임새가 다양한 소형전지

 

1. 소형 전지 종류

  • 소형 전지? 한 손에 잡힐 정도로 작은 전지. 외관의 형태에 따라 코인형/원통형/각형/폴리머(파우치형) 배터리로 구분.
  • -> 스마트폰,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
  • IT 기기 (스마트폰, 스마트 워치, 노트북) : 얇은 필름 소재로 용도에 따라 크기, 용량, 모양을 바꿀 수 있는 파우치형 배터리 사용 ** 과자봉지 ->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안정적
  • 순간적으로 고출력이 필요한 power device (전동공구, 무선청소기), 개인형 이동장치 (전기 스쿠터, 전기자전거) : 고용량, 고출력 특성을 가진 원통형 배터리
  • 무선 이어폰 : 초소형, 경량화 디자인 자유도 높은 코인형 배터리

2. 소형 전지 업체

  • LG 에너지 솔루션, 삼성 SDI 다양한 크기의 배터리 생산
  • 한국은 배터리 제조 강국이나, 원자재의 60% 이상 해외에 의존하고 있기에 소재 확보가 중요. 광산업체와의 협업, 다양한 소재 기업 (포스코 퓨처엠, 에코프로) 소재를 조달받음.
  • LG에너지설루션 (파우치형, 주력 + 원통형)
  • 프리 폼 배터리 개발 : 유연성을 가진 배터리, 여러 디자인으로 제품 제작 가능
  • 삼성 SDI (각형, 주력 + 원통형)
  • 세계 최초 플렉시블 배터리 출시
  • 고성능, 고용량을 위한 새로운 규격의 원통형 배터리 개발

3. 글로벌 소형 전지 업체

  • Panasonic (일본) | 테슬라의 기가 팩토리에 납품하며 18650, 21700, 4680 (앞의 두 글자 직경, 뒤의 두 글자 높이, 0은 원통형)
  • ATL (중국) | 아이폰의 대부분 배터리

4. 소형 전지 산업

  • 90년대 초 소니, 파나소닉 등 일본 기업 중심으로 시장 형성
  • 00년대 휴대전화, 노트북과 같은 IT 기기 발전으로 소형 배터리 각형.

5. 전기차, ESS를 위한 중대형 전지

 

1. 중형 배터리

  • 전기차 배터리
  • 소형 배터리 중 외부충격에 강한 각형 배터리를 주로 적용
  • 장시간 주행을 위해 고용량/고출력 배터리 요구

2. 배터리 업체: 국내 3사

  • 삼성 SDI | 각형 배터리 -> BMW i7
  • LG 에너지 솔루션 | 파우치형 배터리 -> Volkswagen ID.4
  • SK on | 파우치형 배터리 -> 제네시스 eGV70

3. 대형 배터리

  • 에너지 저장 장치 (ESS) | 리튬이온전지와 같은 기존의 중소형 이차 전지를 대형화하거나 화전에너지, 압축 공기를 기타 방식으로 대규모 전력을 저장하는 시스템

4. ESS의 구성요소

  •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 탑재된 배터리의 전류, 전압 등을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배터리를 관리하는 시스템
  •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 모니터링하고 에너지 사용 상황 파악 및 제어해 주는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 PCS (Power Conversion System) :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 또는 방출하기 위해 전기의 특성을 변환해 주는 시스템
반응형